지난 5월 연휴나, 여름휴가처럼, 그리고 광복절 연휴처럼 코로나19가 번질 고비가 추석일 수 있음을 잊으면 안 된다.
감염경로를 모르는 환자가 20%를 웃도는 상황에서 민족 대이동은 바이러스를 방방곡곡 확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추석 연휴기간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대책 마련에 나섰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5월 연휴와 8월 여름휴가 이후 확진자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며 “추석 전까지 신규 확진자 수를 최대한 안정시키고, 이후 연휴 기간에 감염이 증가하지 않도록 기본적 원칙을 두고 추석 방역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지난달부터 추석과 벌초, 성묘 등 민족 대이동으로 인한 확진자 증가를 우려해 ‘전 국민 이동 벌초 및 추석 명절 모임을 금지해달라’,‘추석 명절 기간 록다운(lockdown:외출안하고 집에 머물러 있음)과 장거리 이동제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청원이 올라왔다.
가장 우선시 되는 것은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다.
되도록 이동을 삼가고 접촉을 줄이는 등 방역협력이 발휘될 때다.
보고 싶어도 조금만 참는 ‘특별한 추석’이 됐으면 한다. 그리고 코로나 사태가 하루 빨리 종식됐으면 한다.
다행히 코로나19 전국 확진자가 엿새째 100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광화문집회 이후 한때 하루 441명까지 치솟은 것을 감안하면, 기세가 한풀 꺾인 모습이다.
매일 매일 진행되고 있는 코로나19 확진자 숫자에 마음 졸이는 생활에서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방역당국은 “시민들이 협조하고 인내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아직 긴장을 늦출 때가 아니라고 말한다.
그런데도 일부 보수단체들은 개천절(10월 3일) 대규모 도심 집회를 추진하겠다고 한다. 마치 으름장을 놓고 있는 듯한 모양새다. 앞서 서울 광화문 등에서 벌어진 광복절 집회 관련 확진자가 527명까지 늘어난 것을 간과한 게 아니냐는 생각마저 든다. 집회·시위를 통한 자신들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국민 건강이 우선이다. 집단 이익에 매몰된 무책임한 행동이 아닐 수 없어 자제하길 바란다. 방역의 고삐를 늦춰서는 절대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