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향가는 발 길 이번만은 참자
호남신문 방문자
오늘 현재69,948,526명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 고향가는 발 길 이번만은 참자

민족대이동이 시작되는 추석이 얼마남지 않았다. 고향 부모·형제들과 만날 기쁨에 들뜰 추석연휴를 맞아 고향 방문을 자제하자는 목소리가 높다. 코로나19 감염 차단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함께 불가피한 상황으로 동참이 절실하다.
현재 광주는 며칠째 한자리수 확진자를 보이는 등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남의 경우 필리핀에서 입국한 일가족 16일 밤사이 4명이 가족 간 감염으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추석 연휴를 앞두고 가족 간 전파에 따른 집단감염이 우려된다.
보건당국은 가족의 경우 의식주를 같이 하는 생활 특성상 전파가 쉽게 이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외부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됐더라도 발열, 기침 등 증상이 없으면 집에서 가족과 식사와 대화를 나누며 밀접 접촉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가족 간 감염이 또 다른 감염원이 된 사례가 적지 않다.
지난 8월 순천에서 광범위하고 빠르게 확산해 보름여 동안 무려 63명이 감염된 것도 첫 확진자인 70대 여성이 감염된 후 아들에게 퍼지면서 비롯됐다.
서울 서초구 딸 집을 방문한 60대 여성이 광양에서 6명에게 직간접적으로 전파한 것을 비롯해 다른 지역 자녀나 부모 등을 만난 후 전파하는 사례도 많다.
지난번 섣부른 임시 공휴일 지정과 광복절 집회 등으로 코로나19 확산 위기를 초래한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될것이다.
물론 일년에 한번 맞는 민족의 대명절 추석을 앞두고 고향을 찾아 부모·형제와 친척들과 마음껏 즐기지 못하는 상황이 아쉽고 안타깝지만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큰 만큼 동참이 적극 요구되는 것이다.
자칫 순간의 방심이 공들여 쌓아가고 있는 방역의 둑을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감염 경로를 보면 가족 간 전염 비율이 비가족 간보다 무려 6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70대~80대 이상 고령층 사망율이 전체 사망자의 2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타지역보다 고령 비율이 높은 전남의 경우 매우 위협적이 아닐 수 없다.
설마 하는 방심이 온가족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고, 특히 노부모는 생명까지 위태롭게 할 수 있다. 5일이나 되는 추석 연휴가 코로나19 재확산의 중대 고비가 될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고향 방문 자제가 효도라는 생각으로 이동을 자제하되 부모나 친척, 친지들과 영상통화로 정을 나누고 마스크 쓰기 등 방역수칙을 꼭 지켜야 한다.

오늘의 인기기사